본문 바로가기

육아휴직

(3)
2023년 출산지원금 혜택은? (부모급여, 육아휴직, 첫만남이용권) OECD 기준으로 합계 출산율이 2.1명 이하인 경우는 저출산, 1.3명 이하의 경우 초저출산으로 분류가 되곤 하는데요. 2060년에는 출생아 수가 20만 명이 되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는 우리나라는 이미 1984년 저출산국, 2001년부터는 초저출산국으로 진입했습니다. OECD 국가 중 가장 저조한 출산율을 보이고 있는 우리나라는 인구 감소와 관련하여 다양한 문제들에 대한 상황이 심각하게 대두되고 있어, 출산을 장려하기 위해 매년 지원금을 지급하고 있는데요. 오늘은 예스폼에서 2023년 출산지원금 혜택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2023년 출산지원금 출산지원금 이란 전 세계적으로 저출산이 큰 사회 문제로 야기되며, 심각해진 인구 고령화와 인구 감소를 개선하기 위해 우리 정부에서 다양한 ..
출생신고 서류와 출생신고서 작성방법 출생신고란, 신생아 출생 시 가족관계등록부 및 주민등록에 등록하기 위해 시(구)·읍·면의 장에게 신고하는 것을 말합니다. 신생아가 출생하게 되면 일반적으로 주민센터에 출생신고서와 함께 아기가 태어난 병원의 의사가 서명한 출생증명서를 제출합니다. 출생신고 의무자 「가족관계의 등록 등에 관한 법률」제46조에 의한 출생신고 의무자는 아래와 같습니다. 1. 혼인 중 출생자 혼인 중 출생자의 출생신고는 부(父) 또는 모(母)가 해야 합니다. 2. 혼인 외 출생자 혼인 외 출생자의 출생신고는 모(母)가 해야 합니다. 부(父)가 인지하지 않은 혼인 외 출생자라도 부의 성과 본을 알 수 있으면 부의 성과 본을 따를 수 있습니다. 다만, 부의 성명이 그 자녀의 일반등록사항란 및 특정등록사항란의 부(父) 란에 기재되지 않..
2022년 출산장려 정책 & 육아지원 제도 총정리! 2020년 기준 우리나라 합계출산율은 0.84명으로 통계청에서 발표한 "장래인구추계 2020~2070년"에 따르면 2020년에 정점을 찍은 우리나라 총인구는 향후 10년간 연평균 6만 명씩 감소할 것이라고 합니다. 게다가 최근 코로나19로 인한 방역수칙 강화로 결혼식이 연기되거나 취소되면서 2020년에는 혼인율마저 역대 최저치를 기록하는 등 신생아의 수는 더욱 감소할 것으로 보입니다. 해마다 늘어가는 경제적인 부담에 코로나로 인해 아이를 유치원이나 어린이집에 등원시키지 못하고 직접 돌봐야 하는 육아 부담까지 늘면서 결혼은 해도 자녀 계획은 없는 사람들이 늘고 있는 상황에서 정부에서는 어떤 정책으로 저출산 문제를 해결하려고 할까요? 오늘은 2022년 달라진 출산 장려정책과 육아 지원제도에 대해 알아보도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