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사지방양식 (1) 썸네일형 리스트형 추석 차례상, 제사상 지방 쓰는법부터 다양한 양식까지 한번에! 예부터 제사를 지낼 때는 항상 돌아가신 분들의 넋을 기리고자 조상을 상징할 수 있는 신위를 설치하고 제사를 지냈다. 신위를 둠으로써 제사에 조상의 혼령이 깃들게 되고 진심으로 대상자를 기릴 수 있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신위에 쓰인 것들은 대부분 시동, 신주, 위패, 소상, 초상화, 지방 등이 사용되었는데, 현대에는 영정사진이나 지방 등이 주로 사용된다. 지방이란 신주, 위패 등을 모시지 않는 현대사회에서 설이나 추석과 같은 명절날 제사를 지낼 때 신주를 대신하여 임시로 종이나 한지를 이용해 제작하였다가 제사 후 소각하여 없애는 간단한 신위(神位)를 말하며, 지방은 반드시 깨끗한 한지나 종이를 고이 접은 후 붓으로 쓰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신위(神位)의 종류 돌아가신 고인의 영혼을 모시는 물품을 뜻한다..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