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축문

(3)
2024년 설날 휴무 안내문, 인사말, 세뱃돈 봉투, 제사 지방 등 예스폼에서 준비한 설날 서식과 함께 설날을 미리 준비해보세요! 🐉 새해가 밝고 얼마 지나지 않아 맞이하는 설날은 한국인에게 가장 중요한 전통 명절 중 하나인데요.🎉 가족들이 모여 조상의 묘를 찾아뵙기도 하고 서로의 안녕을 기원하며 민족 대이동이 일어나곤 하죠. 대가족이 한자리에 모여 떡국을 먹으며 한 해의 건강과 행복을 기원하고, 자녀들은 어른들께 세배를 드리며 새해의 복을 비는 세뱃돈을 받기도 합니다. 설날 아침의 세배는 온 가족이 모여 화기애애한 분위기 속에서 새해 첫인사를 나누는 소중한 시간인데요. 이런 설날을 기대하며 미리 설날휴무안내문, 설날인사말, 세뱃돈봉투 등을 준비하실 분들을 위해 오늘은 예스폼에서 2024년 설날을 맞이하여 준비한 설날 관련 서식들을 소개드리려 합니다. 그럼 예스폼에서 준비한 설날인사말, 설날인사말카드, 세뱃돈봉투 등의 서식과 함께 20..
추석 차례상, 제사상 지방 쓰는법부터 다양한 양식까지 한번에! 예부터 제사를 지낼 때는 항상 돌아가신 분들의 넋을 기리고자 조상을 상징할 수 있는 신위를 설치하고 제사를 지냈다. 신위를 둠으로써 제사에 조상의 혼령이 깃들게 되고 진심으로 대상자를 기릴 수 있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신위에 쓰인 것들은 대부분 시동, 신주, 위패, 소상, 초상화, 지방 등이 사용되었는데, 현대에는 영정사진이나 지방 등이 주로 사용된다. 지방이란 신주, 위패 등을 모시지 않는 현대사회에서 설이나 추석과 같은 명절날 제사를 지낼 때 신주를 대신하여 임시로 종이나 한지를 이용해 제작하였다가 제사 후 소각하여 없애는 간단한 신위(神位)를 말하며, 지방은 반드시 깨끗한 한지나 종이를 고이 접은 후 붓으로 쓰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신위(神位)의 종류 돌아가신 고인의 영혼을 모시는 물품을 뜻한다..
올해부터는 추석 차례상 차림 간소하게 6가지만 준비하세요! 홍동백서, 조율이시라는 한자성어를 들어본 적 있으신가요? 빨간색 과일은 동쪽, 하얀색 과일은 서쪽에 두어야 한다는 뜻의 홍동백서와 대추, 밤, 배, 감을 뜻하는 조율이시는 제사상이나 명절 차례상을 차릴 때 올려놓을 제물의 종류와 위치를 뜻하는 말로 사용되는 말인데요. 그런데 사실 유교 경전이나 조선시대 예법서 어디에도 이런 단어는 없다는 사실을 알고 계신가요? 그럼 제사상을 어떻게 준비하라는 건지, 당황하신 분들이 많으실 텐데요 😮 더 놀라운 건 전통 예법에 관한 옛 문헌에 따르면 "기름진 음식을 써서 제사를 지내는 것은 예의가 아니다."라고 해요. 😲 그동안 제사상에 올리려고 열심히 전을 부친 것 왜 그런 건가 싶으실 텐데요. 아마도 시대가 변하면서 제사상에 올라가는 음식도 바뀐 것이 아닐까 추측하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