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산업재해

(3)
산업 현장의 안전을 위한 개인보호구 지급대장의 필요성 중대재해처벌법에서 중대산업재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안전 및 보건 확보를 사업주와 경영책임자의 의무로 규정하면서 산업 현장 안전 확보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중대재해처벌법 시행 이후에도 산업재해 사고가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가운데, 최근 중대재해법 위반 1호 선고가 나오면서, 처벌 수위를 두고 노동계와 경영계의 갑론을박이 이어지고 있는데요. 이번 시간에는 해당 판결의 결과에 대해서 논하지는 않고, 대신에 산업재해 예방 차원의 개인보호구 착용에 대해서 이야기해보려고 합니다. 사업장에서 근로자들은 자신의 신체조건에 적합한 개인 보호구를 필수로 사용해야 합니다. 만약 사업장에서 개인 보호구를 착용하지 않는다면, 처벌을 받게 될 수 있는데요. 오늘은 예스폼에서 사업장 필수 요소, 개인 보호구 지급대장 ..
공사 현장 안전보건관리계획서 양식과 작성 내용 알아보기 산업재해를 줄이기 위해 시행된 중대재해처벌법(중대재해 처벌 등에 관한 법률)이 올해로 1년을 맞이하였습니다. 2022년 1월 27일 중대재해처벌법이 시행되면서 산업안전의 중요성과 재해의 심각성에 대한 인식이 많이 퍼지게 된 계기가 되었지만, 시행 이후에 실제로 산업재해가 줄었느냐고 물어보면 고개를 갸우뚱할 수밖에 없는데요. 고용노동부에서 1월 19일 발표한 "재해조사 대상 사망사고 발생 현황" 보도자료에 따르면 2022년 중대재해로 인해 사망한 근로자는 644명으로 전년대비 39명이 줄었지만, 중대재해처벌법 적용대상인 상시근로자 50인 이상 규모의 사업장에서는 256명의 사망자가 발생하여 전년보다 8명이 늘었습니다. 중대재해처벌법 시행 후에도 뚜렷한 성과가 없자 정부에서는 중대재해처벌법령 개선 TF를 발..
산업재해예방 필수 안전수칙(IECR) 추진과제와 실천수칙 알아보기! 우리는 노동 과정에서 발생하는 사고 등으로 인해 노동자가 신체적, 정신적으로 피해를 입는 것을 산업재해라고 하는데요. 일반적으로 산업재해라고 하면 제조업, 건설업 등을 떠올리지만 그 외에도 모든 분야에서 산업재해는 발생할 수 있습니다. 산업재해가 발생하면 노동자의 경우 어떤 피해를 입었느냐에 따라 생계에 문제가 발생할 수도 있고, 사용자의 입장에서도 생산성이 줄어들기 때문에 이러한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산업재해예방 필수 안전수칙 등을 통해 산업재해를 줄이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오늘은 예스폼에서 산업재해예방 필수안전수칙(IECR)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산업재해예방 필수 안전수칙(IECR) 산업재해예방 필수 안전수칙(IECR)이란 Identify, Eliminate, Control, Response의..